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life tips)

이사 전 체크해야할 6가지 총정리!

by 꿀팁' 2023. 6. 25.
반응형

 

이번 주제는 이사하는 날 빼먹으면 안 되는 6가지 입니다!

아무리 이사 의 달인 이더라도 한두 가지씩 해먹을 수 있는 사소한 실수들 알아보시죠~!

 

이사 전 체크 사항 6가지!

 
1. 불필요한 짐 줄이기!
 
이사 전 후 쓰레기는 직접 오랜기간 한곳에서 살다보면 불필요한 짐들이 늘어나기 마련입니다
 
미리 필요없는 짐들을 정리하여 불필요한 비용을 줄일 수 있도록 합시다
 
안 입는 옷들은 미리 수거함을 통해 버리거나 헌옷 수거 서비스를 이용하면 됩니다
 
폐가전의 경우 무료 수거 서비스를 이용하면 추가비용없이 정리가 가능합니다
 
 
 
2. 쓰레기 봉투 준비하기!
 
그렇다면 이사 후 나오는 쓰레기는 어떻게 해야 할까요?
이사업체가 쓰레기까지 버려 주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미리 3장 정도 쓰레기봉투를 준비해 출발지에서 나온 쓰레기와 
추후 이사를 한 집에서 나오는 쓰레기들을 정리하면 됩니다
 
 
 
3. 세탁기와 냉장고 미리 정리하기!
 
세탁기와 냉장고는 이사 전날 미리 정리해두어야 합니다.
포장이사 의 경우 냉장고 까지도 다 정리해 주는 것 아니야? 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약간의 정리는 필요합니다
최대한 보관중인 음식물은 줄여 놓는 것이 좋으며, 최소한의 식재료만  보관하는 것이 좋습니다
 

세탁의 경우 반드시 물을 빼 놓아야 한다는 점을 잊어서는 안 되는데요, 세탁기 에 물을 빼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세탁기 에 연결된 수도꼭지를 모두 잠근 후 세탁기 안에 배수 호스를 분리시킨 다음 세탁기 전원을 키고

탈수를 3분정도 맞춰 놓으면 됩니다. 배수관을 봤을때 물이 나오지 않으면 물이 빠진 겁니다

 
 
4. 각종 가전제품 설치는 미리 신청 해놓기!
 
구매는 한지 얼마 안된 새 가전제품이나 벽걸이형 tv 에어컨 의 경우 이사업체 에만 맡길 경우 큰 짐이 생길 수 있다는 우려가 생길 수 있습니다
 
이런 경우 해당 가전업체 될 미리 이전설치 신청을 해놓으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데요
단 서비스 비용이 발생한다는 점은 숙제 하도록 합시다!
 
에어컨 의 경우 이삿짐 업체에서 해체 및 부착 정도는 해 주지만, 배선을 잘 못자르는 경우 추 후 설치 시 불편함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배관을 길게 짤라 달라고 하는 것이 좋습니다
 
 
 
5. 전기요금, 수도요금, 가스요금 미리 정산 예약하기
 
보통 이사 당일 까지 사용량을 계산해서 정산을 하게 됩니다
수도요금 의 경우는 이사하는 날 오전 수도 계량기를 확인하여 관할 수도사업소나
다산 콜센터로(120) 문의하여 요금 정산을 할 수 있죠
 
전기요금은 한전(123)으로 전화에 해지한 후, 전기 검침 기 앞의 네자리 숫자를 확인하여 말하면 됩니다
 
단, 아파트 관리비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 관리 사무소로 문의해야 합니다
 
 
가스 요금은 어떻게 신청하면 될까요?
이사하기 3일전에 도시 가스 지역 센터로 연락을 해서 이사 날짜는 알려주고 방문 일자를 잡으면 됩니다
이사당일 직원이 가스 레인지와 밸브를 안전하게 돌리 해주며, 현재까지 사용한 가스 요금을 바로 정상 해줍니다.
철거 및 정산은 현금결제도 진행되는 경우도 있으므로 미리 준비해 두는 것이 편리합니다.
 
수도 전기 가스 요금 들을 자동이체로 납부해 쓸 경우 자동이체 해지도 함께 신청 해 주면 좋습니다
 
 
6. 집주인과 보증금 돌려받는 시간 정하기!
 
 집을 비우는 도중이라도 꼭 보증금을 돌려받아야합니다.
만약 받지 못했다면 이사를 하는 순간 보증금 돌려받는 권리를 잃어버리기 때문에 비밀번호 공유는 절대 금물입니다.
 
 

이사 후 체크 사항!

이사 완료 후 챙겨야 하는 주요 두가지!
 
1. 첫번째 이삿짐 제 확인!
 
이삿짐이 모두 옮겨지고 이사가 완료되었다고 해서 끝이 아닙니다.
이사가 완료된 직후 기사 쯤 상태를 미리 살피는 것이 중요한데요

이삿짐을 나누는 과정에서 흠집이나 파손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죠!

이삿짐을 옮기기 전 미리 사진 등을 찍어 놓아 이 사부의 상태와 비교해 보는것이 좋습니다.
 
고장이나 이상을 발견하면, 즉시 이삿짐센터 에 통보하여 보상을 받을 수 있도록 합시다.
 
 
 
2. 확정일자 신청하기
 
이사하고 14일 이내로 하지 않으면 5만원의 과태료가 부과될 수 있는 전입신고,
바쁘다 바쁘다 미루지 말고 즉시 신청하도록 합시당
 
관할 주민센터에서 직접 신청하거나 민원24 홈페이지에서 온라인 신청을 할 수 있습니다
 
임대차계약씨 보증금에 대한 권리를 지킬 수 있는 수단, 확정 일자!
보통 전입신고와 동시에 진행합니다
전입신고 후 주민센터에서 임대차계약서에 확정일자를 함께 받도록 합시다
 
 
그림속 체크 리스트를 한번 같이 보시죠!
 

 

 

위와 같이 미리 꼼꼼히 체크하여 이사를 하시면 됩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