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가 시간을 되돌릴 수 있다면 전 진짜 무조건 ISA 계좌부터 만들 거예요!
2023년 금융 키워드 중 하나가 바로 "체리 슈머"인데요. 물가 오르고 금리 상승하면서 알뜰하게 소비하고 저축하려는 소비자들이 늘어난 거죠. 주변을 둘러보면 산테크로 천만원 모으기, 100만원으로 한 달 살기 등 이런 분들이 많아졌습니다.
저도 이제 재테크 5년차가 되니까 주변에 동생들, 신혼부부, 후배들, 직장인 친구들, 선배들까지 돈 어떻게 모아야 하냐고 물어보는 분들이 많거든요.
그때 나이 불문, 성별 불문, 소득에 상관없이 공통적으로 말씀드리는 게 있어요. 바로 ISA 계좌입니다!
영어가 좀 어렵죠. ISA(individual Saving Account) 계좌가 도대체 뭐냐고요? 어려운 말로는 "개인종합 자산관리 계좌"라고 할 수 있고, 쉽게는 "비과세 혜택을 주는 금융 장바구니"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원래 예적금은 은행에서, 주식이나 ETF, 채권은 증권사에서, 개인연금은 주로 보험사에서 가입하고,
각각 관리를 해왔잖아요. 그런데 ISA 계좌는 이 모든~~ 상품을 한 통장에서 관리하고 투자할 수 있습니다.
ISA 계좌에서 투자하며 과세소득에 대해서 200만원까지 최대 400만원까지 비과세 혜택을 줍니다. 이게 가능한 이유는 애초에 ISA 계좌 목적 자체가 정부에서 국민들의 자산 형성을 위해서 만든 통장이거든요.
원래는 2016년에 나왔는데 혜택이 별로여서 외면을 받다가 2021년에 보완되어 출시된 이후부터 지난 2년간 무려 가입자만 270만이 넘습니다.
"난 오늘 처음 듣는데 이렇게 많이들 개설해서 사용하고 있다고? 도대체 어떤 통장이길래!"
간략히 ISA 계좌의 특징을 보면, 납인 한도는 연간 2,000만원. 그리고 5년간 누적 최대 1억원까지 가능하고요.
의무보유기간이 3년입니다.
ISA계좌의 종류
- 첫 번째로는 중개형 ISA란게 있습니다. 여기는 주식과 채권을 마음대로 고를 수가 있고 그 외에 이제 펀드나 ELS 같은 뭐 또 예금 같은 상품들도 나올 수 있습니다. 특별한 조언 안 받고 가입자가 직접 고르는 거고요.
- 여기에서 주식하고 채권만 딱 빠진게 바로 신탁형이라고 보시면 되고, 마찬가지로 이것도 투자자 가입자가 금융사에 운용지시라는데 운용지시란 말이 뭐 어렵게 들리겠지만, 그냥 내가 상품을 선택한다 이렇게 생각하시면 되고요.
- 일임형은 아 나는 이제 금융지식이나 이런 것들은 잘 없고 그런데 ISA 가입하고 싶다 이럴 때 세 가지는지는 5가지 모델을 미리 금융사가 만들어 놓습니다. 그래서 예를 들자면 뭐 안정형 혹은 그 반대쪽에는 공격형 이런 식으로 5가지로 나눠서 그 고객의 투자 성향에 맞게 하나의 모델 포트폴리오를 고르면, 그대로 이제 금융사가 정해 놓은 상품대로 굴러가는 그런 형식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ISA계좌의 가입 형태
중개형, 신탁형, 일임형 중에 어떤걸 가입하고 싶은지 골랐으면, 내가 해당되는 형을 고르시면 됩니다.
그 선택에 따라서 일반형과 서민형으로 나뉘는데요:
- 일반형은 19세 이상이면서 최근3년간 종합소득 과세자가 아니면 이자 배당소득에 대해서 200만원까지 비과세가 되고
- 서민형은 연소득 5천만원 이하이거나, 종합소득 3800만원 이하면 가입할 수 있는데요. 최대 4백만원까지 비과세가 됩니다.
그럼 어떤 투자 상품을 담을 수 있는가?
예적금을 비롯해서 국내 주식, ETF, 국내 채권 펀드, IP-ELS, DLS 등등.. 해외 투자 상품을 제외한, 대부분의 상품에 투자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절세 통장, 만능 통장이라고 불리는데요.
"아니, 굳이 이거 아니어도 절세계좌 이것저것 많던데, 왜 꼭 ISA 계좌여야 하냐?"
일단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나는 연봉 5천만원 이하다. 그리고 최소 3년 정도는 종잣돈 모으기를 위해서 시드를 묶어놔도 괜찮다" 하시는 분들은, 그냥 아무 따 만들어 두라고 강조하고 싶어요!
이제 5가지 이유를 예시와 한번 보실께요!
ISA계좌를 만들야 하는 1번째 이유
첫 번째 이유는 절세 혜택이 넘사벽입니다. ISA 계좌 주요의 혜택이, 이자 및 배당소득에 대해서 일반형은 200만원, 서민형은 두 400만원까지 비과세 됩니다. 이게 끝이 아니고 초과소득에 대해서는 9.9%로 저율 과세를 합니다.
얼핏 들으면 뭐 세금 좀 줄여주는게 뭐 그렇게 좋은가 싶거든요. 근데 일반 계좌랑 비교하면 차이가 확 납니다.
일반형은 비과세 한도가 200만원까지, 서민형과 농어민형은 400만원까지 비과세 혜택을 보실 수 있고요.
이 한도를 넘어서신다면 일반적으로는 15.4% 세금을 부과를 해야겠지만 ISA는 이와 함께 절세 혜택을 더 추가로 주기 때문에 9.9%의 세금만 내면 됩니다.
예를 들어서 제가 300만원의이자 수익을 얻었다라고 가정을 한번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이 경우에 일반형 기준으로 200만원까지는 혜택을 받고요, 100만원에 대해서만 9.9%의 세율을 적용받습니다. 일반적인 계좌라면 300만원 전체에 대해서 15.4%세율을 적용을 받았을테니까 99,000원과 462,000원 세금 혜택이 굉장히 차이가 많이 나는 거죠.
같은 상황에서, 내가 만약 ISA 서민형 가입자다 그럼 세금을 한 푼도 안 내요. 왜냐면 400만원까지 비과세가 되니까. 수익이 천만원을 넘어간다면 세금 차이만 100만원 이상이 나는 거죠. 자, 하다 못해 예적금만 가입해도 우리가 이자 소득세 15.4%를 따박따박 떼어 가거든요. 이거 정말 큰 혜택이라고 볼 수 있어요.
다만, 이 혜택을 받으려면 ISA 계좌를 최소 3년 이상 유지해야 되고요. 중도 해지하면 그동안 받았던 절세 혜택을 포기해야 됩니다. (해지할때 다시 세금이 부과가 됩니다)
ISA계좌를 만들야 하는 2번째 이유
두 번째 장점은 실제 내가 번만큼만(순수익만큼) 세금을 뗀다는 거예요.
자, 어려운 말로는 손익통산이 가능하다는 것이고, 쉬운 말로는 내 손실과 이익을 합해서 세금을 매긴다는 의미입니다.
보통 일반 계좌에서는 내가 많이 벌면 이자에 대해서 세금을 내지만, 내가 손실을 봤다고 해서 그 감면해 주는 건 없거든요.
예를 들어, 국내 주식에서 600만원 수익을 내고, 내가 펀드에서 300만원 손실을 봤어요.
그럼 일반 계좌에서는 어쨌든 600만원 번거에 대해서 15.4% 세금으로만 924,000원을 떼 갑니다.
근데 ISA 계좌가 그럼 실제 내가 얻은 수익 600이 아니라, 손실인 -300만원을 감안하면, 나는 300만원만 수익을 낸 거거든요. 그럼 300만원에 대한 세금만 매깁니다. 근데 또 300만원 중에서 200만원은 비과세잖아요. 그럼 나머지 100만 원에 대해서는 저희를 분리과세 9.9%로 99,000원을 냅니다.
거의 세금만 10배 가까이 차이가 나는 거예요.
ISA계좌를 만들야 하는 3번째 이유
세 번째 장점은 당장 돈이 없어도 혜택을 유지할 수 있다는 거예요. 이게 무슨 말이냐면, ISA 계좌는 투자금 납입 한도를 이월할 수 있어요. 내가 2021년에 계좌를 일단 만들었는데, 돈이 없어서 안 넣었어요. 그래도 보유 기간에 카운트 돼서, 원래는 1년에 2천만원씩 넣을 수 있으니까, 이 3년차. 그러니까 올해는 한 번에 6천만원을 넣어도 혜택을 볼 수 있다는 거예요.
가입하고 매년 2000만원씩 넣을 수도 있지만, 가입하고 한 푼도 안 나왔다가 한꺼번에 3년차 때 6천만원, 4년차 때 8천만원 이렇게 넣을 수도 있다는 겁니다!
돈이 생기면 그때 가입해야지 하면 1년이 꼬박 묶이지만, 내가 일단 가입해놓고 2년간을 방치해도 보유 기간은 계속 채워진다는 거예요. 고민할 시간에 일단 만들라고 강조하는 이유가 여기 있습니다.
자, 추가 꿀팁을 드리자면, 3년 뒤에도 나는 서민형의 가입할 수 있다면 내 소득이 크게 변동이 없다면, 그럼 ISA 계좌를 3년 유지한 후 해지하고 재가입하셔서 절세 혜택을 또 챙길 수도 있습니다! 완전 꿀이죠.
ISA계좌를 만들야 하는 4번째 이유
네번째 장점은 종합소득세와 합산 과세되지 않아요! 원래 우리나라는 연간 금융소득이 2천만원이 넘으면, 내 근로소득이나 사업소득과 합산해서 세금이 뗍니다. 우리나라 소득세는 누진세율이라서 소득이 높아질수록 세율도 높아지잖아요. 근데 정부에서는 ISA 계좌에서 발생한 이자만큼은 철저하게 분리해서 세금을 매기겠다는 겁니다.
예를 들어, 내가 연봉 4000만원을 받는 직장인인데, 주식 숫자로 한 해 동안 2천만원을 벌었다면, 원래대로라면 내 소득은 6천만원으로 잡히고 이 6천만원에 대한 소득세를 매깁니다. 하지만, 그 2000만원이 ISA 계좌에서 얻은 거라면, 내 근로소득 4천과 이자소득 2천 이렇게 구분해서 세금을 뗀다는 거죠. 그럼 세율이 확 낮아지겠죠.
ISA계좌를 만들야 하는 5번째 이유
마지막으로, 직장인 분들이야 건강보험료가 월급 기준으로 나오니까 와닿지 않을 수도 있지만, 프리랜서나 개인사업자 분들이나 혹은 보유재산이 좀 있지만 당장 근로 활동이 없는 분들은 건강보험료 부담이 더 상당하거든요. 원래 건보료는 금융소득이 천만원만 넘어가도 인상이 된다고 해요. 근데 ISA 계좌에서 발생한 금융소득은 건강보험공단에는 넘어가지 않는다고 합니다.
ISA계좌를 만들야 하는 마지막 이유
마지막 장점 원할 때 원금 출금이 가능합니다. 근데 중요한거는 이 원금을 빼도 페널티가 없이 절세택이 유지된다는 거예요. 다만 연 2천만원이라는이 납입 한도는 입금 기준이에요. 내가 출금한 원금은 다시 채워 넣을 수가 없습니다 만약 올해 내가 2천만원을 넣고 그 중에 1000만원을 출금했다 그러면이 천만원의 한도는 살아나지 않아요. 그냥 이 나머지 천만원에 대해서만 절세 혜택이 유지되는 거고 추가로 입금할 수 없습니다.
왜 꼭 ISA계좌를 사용해야 할까요?
"자 그럼 ISA 계좌 좋은 거 알겠어요~" 그래서 담을 수 있는 투자 상품이 엄청 많잖아요. 요즘 같이 경기가 불안할 땐 어떤 상품을 선택을 해야 될까요? 지금 금리가 많이 오르긴 했지만 경기가 계속 안 좋잖아요. 그럼 언젠가는 금리를 이해하는 시점이 올 텐데 채권은 금리와 가격이 반대로 움직이거든요. 그래서 지금보다 금리가 높아지면 채권 가격은 떨어지겠지만, 지금보다 금리가 낮아진다면 당연히 채권 가격은 올라가겠죠.
그럼 채권을 왜 꼭 ISA 계좌에서 굴려야 하냐? 채권은 크게 이자수익과 매매 차익이 있거든요. 만기까지 보유하면 약속된 이자를 받는 거고요, 중간에 누군가에게 내 채권을 팔아서 차액을 얻을 수도 있어요. 여기서 채권의 원래 비과세입니다. 굳이 ISA 계좌를 이용하지 않더라도 세금이 없어요.
하지만 이자 수익은 과세 대상이기 때문에 ISA 계좌를 이용하면 내가 내야 할 세금을 확 줄일 수 있어요. 자 예를 들어서 중개형 ISA 계좌에 2천만원을 넣고 3년을 보유한 뒤 해지했습니다.
그 사이에 채권수익이 이 표와 같이 발생을 했습니다.
- A채권에서는 채권 이자가 200만원 그리고 채권 매매 차액이 100만원 발생했구요.
- B라는 채권에서는 채권 이자가 400만원 채권 매매차액이 150만원 발생했습니다
자 그러면이 기간 동안 채권이자는 총 600만원 매매 차액은 250만원인데요.
여기서 매매차익 250만원은 비과세, 그럼 채권이자 600만원은 ISA 계좌에 비과세 한도인 200만원까지 되니까,
요거를 제외한 400만원에 대해서 9.9% 저유과세를 합니다. 세금으로 396,000 내게 되죠.
반면 내가 일반 계좌에서 똑같은 수익이 발생했다. 그럼 채권이자 600만원 전액에 대해서 15.4% 과세를 하고요
924,000원에 세금을 내야 됩니다. 2배가 넘죠!
참고로 ISA 계좌는 세금계산법이 해지일 기준이에요. 투자상품에서 이자가 발생할 때마다 세금을 매기지 않고요. 나중에 계좌를 해지할 때 지금까지 발생한 모든이자 소득 수익 난 거 손실난거 다 합쳐서 한꺼번에 과세를 합니다.
자 그럼 ISA 계좌의 채권을 어떻게 담냐? 과거에는 일반 개인이 채권을 사기가 상대적으로 어려웠어요.
근데 지금은 증권사에서 소액으로 얼마든지 쉽게 사업할 수가 있거든요.
저는 삼성증권 ISA 계좌를 보유하고 있는데요 삼성증권 어플에 들어가시면 채권 카테고리가 있습니다.
그곳에 클릭하시면 채권 종료 그리고이자 만기까지 한눈에 비교하고 고를 수가 있습니다.
그리고 현재 삼성증권에서 중개형 ISA 이벤트를 하고 있기 때문에, ISA 계좌에서 10만원 이상 투자하면 무조건 5천원 상품권을 100% 지급합니다!
그리고 거래 금액에 따라서 최대 10만원 상품권을 주니까. ISA 계좌에 가입할 생각이 있었던 분들은이 혜택까지 챙기시면 좋을 것 같아요!
그래도 어려워서 잘 모르겠으면 그냥 일단 만들어둡시다! 개설은 5분이면 됩니다!
현재 주식계좌가 ISA계좌가 아니라면 지금이라도 이동하시거나, 혹은 적금 등을 가능한만큼 납입을 하시고 그 안에서 투자를 시작하세요!
부자가 되는 길은 한번에 되는것이 아닙니다! 굳이 내지 않아야 하는 돈, 즉 세는 돈이 없이 작은 작본을 눈덩어리처럼 불려 나가야 합니다.
'제테크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진짜 경제를 알려면 달러 인덱스를 꼭 체크해야 한다 (0) | 2024.12.29 |
---|---|
ISA 계좌 대신 해외 직접 투자 하는 이유가 뭘까? 바로 알려드립니다. (0) | 2024.12.29 |
KB카드 한도 상향방법 및 증빙 서류( feat. 최대 한도) (0) | 2023.06.23 |
댓글